전체 글 (7) 썸네일형 리스트형 Tissue Section 수집한 조직의 현미경 관찰을 하기 위해서는 조직을 빛이 통과할 수 있을만큼 얇은 형태로 절단 후 투명화, 염색 등 다양한 과정이 필요하다. 이번 글에서는 조직 수집 후 현미경 관찰을 위해 필수적인 조직의 section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다.Paraffin Section Protocol고정1. 조직을 4% paraformaldehyde 용액(고정액)에 담구어 고정한다.(고정액 제작 방법은 아래 링크에 첨부하겠다.)https://nois.tistory.com/7 탈수1. 고정된 조직을 4~5mm로 관찰 단면의 위치를 고려하여 절단한다.2. 카세트에 조직을 넣는다.3. 저농도 에탄올에서 고농도 에탄올로 순차적으로 탈수한다.- 70% EtOH -> 80% EtOH -> 90% EtOH -> 95% EtOH -.. 4% PFA 고정액 제작 고정액은 수집한 조직의 변화를 방지하고 조직 관찰에 용이한 형태로 변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번글에서는 paraformaldehyde(PFA)을 이용한 고정액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다.4% PFA 고정액 500ml 제조 protocol 1. D,W, 475ml를 비커에 준비한다2. 준비된 비커를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가열한다.3. magnetic stirrer를 비커에 넣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한다. (60℃, 360rpm, 20m)- 교반하는 과정 중에는 호일을 이용하여 빛을 차단한다.4. 교반을 진행하면서 paraformaldehyde 20g을 넣는다.5. 10N NaOH를 100ml 당 10μl 추가한다, ( 500ml 기준이므로 NaOH 50μl 넣는다)6. paraformaldehyde.. HPLC HPLC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란?HPLC는 화합물을 분리하고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분석 기술 중 하나로, 고정상과 이동상 그리고 시료와의 상호작용으로 혼합물을 분리시키는 방법이다.일반적으로, HPLC 시스템은 샘플을 주입하고, 액체 이동 상에 따라 분리되는 칼럼을 통과시킨다. 이 칼럼은 일종의 특별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서 샘플의 성분을 분리한다. 분리된 성분은 감지기를 통해 감지되고, 이를 통해 각 성분의 양과 식별이 가능하다. 이번 글에서는 HPLC를 통해 카페인 함량시험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시험 방법1. 이동상 제작: 메탄올 50ml, 물(초순수) 50ml, 초산 0.1ml의 비율로 제작하여 이동상 병에 넣어준다 (그 이상 넣는 경우 해.. Immunohistochemistry(IHC) IHC란?Immunohistochemistry(IHC)는 항원-항체 특이 반응을 이용하여 조직 또는 세포 내의 특정 항원의 존재 유무나 위치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이번 글에서는 IHC 간접염색법에 해당하는 ABC 방법으로 염색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ABC(Avidin-Biotin Complex) 법avidin. streptavidin이 당단백질 biotin에 대해 가지는 높은 친화력에 기초한다. avidin, streptavidin 모두 biotin에 대해 4개의 결합 부위를 가지고 있다. Horseradish peroxidase reaction에 의해 avidin 또는 streptavidin이 비오틴화 되어 있는 2차 항체에 반응한다는 것이 이 염색법의 기본 원리이다. IHC protoco.. RT-PCR(3)_PCR 이번 글에서는 PCR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RNA extraction→cDNA synthesis→PCRPCR이란?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DNA의 원하는 부분을 복제·증폭시키는 분자생물학적인 기술이다.PCR은 실험 목적에 따라 RT-PCR, real-time PCR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된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에 대해 알아보자. PCR protocol1. PCR sample 조성 - smaple이 2개 이상일 경우 lose를 고려하여 mix 조성PCR D.W13.7μl10x buffer2μldNTP1.6μlcDNA1μlforward primer0.8μlreverse primer0.8μltaq0.1μltotal20μl - buffer : 공통 이온 효과에 의해 용액의.. RT-PCR(2)_cDNA synthesis 이번 글에서는 RNA extraction 다음 단계인 cDNA 합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RNA extraction → cDNA synthesis → PCRcDNA 란?cDNA는 complementary DNA로 mRNA를 주형으로 역전사효소와 DNA 중합효소에 의해 합성된 DNA이다. RNA로부터 cDNA를 합성하는 이유는 진핵세포 유전자가 intron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Post transcription regulation 과정을 거친 RNA는 intron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 RNA를 통해 exon만으로 이루어진 cDNA를 만든다. 앞선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RNA를 cDNA로 합성하는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자.cDNA synthesis protocol1. 정량한 RNA 9μl에 Olig.. RT-PCR(1)_RNA extraction RT-PCR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일련의 과정이 필요하다. 오늘은 그 첫 단계인 RNA extraction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RNA extraction → cDNA synthesis → PCR RNA extraction이란?생물학적 sample로부터 순수한 RNA를 정제하는 것이다. 이는 PCR, sequencing 등 다양한 실험을 위해 필수적이며 sample의 종류와 실험 목적에 따라 여러 방법과 protocol이 사용된다. 이번 글에서는 TRIzol을 이용한 RNA extraction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RNA extraction protocol1. TRIzol을 조직 100mg당 1ml(=1000 μl) 첨가하여 균질한다. (ice에서 15m 이상 대기)- TRIzol : .. 이전 1 다음